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12지간지 순서와 의미 알아보기

반응형

 

12지간지는 우리의 전통 음력 달력에서 사용되는 천간과 지지를 조합한 시간의 표현 방식입니다. 이 글에서는 12지간지의 순서와 의미를 알아볼 것입니다.

 

12지 순서

12지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쥐)
  • 축(소)
  • 인(호랑이)
  • 묘(토끼)
  • 진(용)
  • 사(뱀)
  • 오(말)
  • 미(양)
  • 신(원숭이)
  • 유(닭)
  • 술(개)
  • 해(돼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천간과 지지

천간(天干)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의 10개 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지(地支)는 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로 이루어진 12개 문자입니다.

간지(干支) 표기는 천간이 먼저 표기되고, 지지가 나중에 표기됩니다. 예를 들면, 갑자(甲子), 을축(乙丑) 등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조합을 하면 60개가 되고, 마지막이 계해(癸亥)가 됩니다.

 

 

 

12지의 의미 체계

구분
동물 호랑이 토끼 원숭이 돼지
시간 23시~01시 01시~03시 03시~05시 05시~07시 07시~09시 09시~11시 11시~13시 13시~15시 15시~17시 17시~19시 19시~21시 21시~23시

12지는 각각 동물과 시간대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사람들의 태어난 년도와 시간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60갑자와 년도의 순환

60갑자는 천간과 지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60개의 문자로, 음력 달력에서 년도를 표기하는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2014년은 갑오년, 2015년은 을미년, 2016년은 병신년, 2017년은 정유년이 되는 식입니다.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갑술 - 을해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무자 - 기축 - 경인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임자 - 계축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위의 순서로 60갑자가 진행되며, 60년 주기로 반복됩니다.

결론

이 글에서는 12지간지의 순서와 천간, 지지의 조합 및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2지간지는 우리 전통 음력 달력에서 년, 월, 일, 시간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60갑자는 60년 주기로 반복되는 년도 표기법입니다. 이러한 지식을 이해하면 우리의 전통 음력 달력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것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