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득세 3.3% 계산 과 환급 그리고 필요경비
오늘 글에서는 사업소득세 3.3% 계산 방법과 환급은 어떻게 받는지 그리고 공제를 받을 수가 있는 필요경비 내역에 대해서 확인을 하여보겠습니다.
그럼 먼저 사업소득세 3.3% 계산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사업소득세 3.3% 계산 |
계산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받은 총금액에 3.3%를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예을 들자면 100만원의 사업수익이 발생을 하였다면 3.3%는 33000원입니다. 사업소득세 3.3%를 공제를 하고 받게 됩니다.
포털 사이트에 퍼센트 계산기로 검색을 하시면 보통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금액을 입력을 하고 3.3%를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사업소득세 3.3%를 확인을 할 수가 있습니다.
☞ 사업소득세 3.3% 환급 |
사업소득이 있는 프리랜서는 5월에 종합소득세 세금신고를 합니다. 이때 기납부한 세액보다 납부할 세액이 적다면 환급을 받게 됩니다.
반대로 소득이 많아서 기납수세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환급이 아니라 추가로 세액을 납부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사업소득세 3.3%를 계산을 하고 환급에 대해서 확인을 하였습니다. 그럼 필요경비 목록에 대해서 확인을 하여보겠습니다.
☞ 사업소득세 3.3% 필요경비 |
개인사업을 할 때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절세를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필요경비를 잘 계산을 해서 절세를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그럼 필요경비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필요경비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관련 영수증을 꼭 받아야 합니다. 상대방이 세금계산서를 발급을 할 수가 있는 일반과세자인 경우에는 꼭 세급계산서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경비로 처리를 할 수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보험료 : 본인이 현재 납부를 하고 있는 국민연금보험료는 전액 소득공제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2. 임차료 : 업무를 위해서 사무실을 임차를 하고 임차료를 필요경비로 인정이 됩니다. 또는 업무를 위해서 장비를 임대를 하였다면 해당 부분도 가능합니다.
3. 업무 관련해서 교통비 또는 숙박비로 지줄한 비용
4. 통신비 : 핸드폰 , 인터넷 , 일반전화 비용
5. 감가상각비 : 업무를 위해서 구입한 자산이 있다면 구입 및 우지에 소요된 비용
6. 광고료
7. 업무를 위해서 구입한 각종 소모품비 : 각종 사무용품
8. 기부금
9. 접대비 : 식사 및 술 접대비 , 개업식 , 결혼식에 지출한 축의금 또는 부의금 이때 경조사비용은 건당 20만원 이하 이어야 합니다.
10. 외부용역에 지출한 경비 : 이때 객관적으로 증빙이 되는 계약서와 같은 객관적으로 증빙이 되어야 합니다.
이 밖에 업무 관련해서 지출을 하고 객관적으로 증빙이 되는 서류를 받아서 증빙이 가능하다면 필요경비로 인정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여기까지 사업소득세 3.3% 관련 내용에 대해서 확인을 하였습니다.